중국어배우기 3개국어하는법

중국어를 사실 유럽어 부터 하지 않았다면 안 했거나 못했을 거라 생각한다. 중국어배우기를 안 하고 그냥 바로 유럽어 3개국어하는법으로 방향을 정해서 러시아어를 먼저 만났다거나 혹은 그냥 바로 독일로 직행해서 독일어나 아니면 그냥 들어도 ASMR 같은 프랑스어에 먼저 빠져서 이런 유럽어 배우기를 접했다면 중국어는 거들떠도 안 봤을 거라는 것이다.

먼저 만난 중국어가 참 다행이라 안심한 적도 있다. 내가 처음 중국어배우기를 어쩌다가 접하게 되었을 때는 사실 지금처럼 제2외국어에 대한 자료들이 미친 듯이 넘치고 은혜의 강물처럼 흐르던 때가 아니었다. 그때의 제2외국어 절실하게 배워 보고 싶어서 서점 가면 일본어배우기랑 중국어배우기 만 넘쳐났고 그것도 일본어 밀려 있었고 중국어는 구석에 조금 있고 그 외 유럽어 들은 더 구석에 가야 한 권에서 두 권 정도 있어서 3개국어하는법 알고 있는 사람도 교표들이나 해외에서 조기유학해서 만들어 온 사람들뿐이었다.

중국어도 못하고 영어도 못하는 어정쩡한 포지션

이렇게 중국어배우기로 여차여차 해낸다고 한들 가장 큰 구멍이 있다. 바로 3개국어하는법은 커녕 중국어 학습자들의 복병은 바로 영어를 못한다는 것이다. 특히 전공으로써의 중국어를 선택한 사람들은 더더욱 그렇다. 이게 언어 체계가 다르다 보니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데 단순 ‘주-술-목’ 구조가 비슷하다고 해서 그대로 적용을 하다가는 큰 코를 다치게 된다.

게다가 전공 중국어를 하는 도중이라면 더 문제는 커지게 된다. 중국어배우기로 우선 적으로 3개국어하는법 하기 이전에 중어부터 하고 다른 언어를 하자고 생각을 하는 전공자들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문제는 공부법을 몰라서 우리 1세대 혹은 2세대 교수님들의 회화를 못하는 교수법 덕분에 말도 못 하는 상황에서 거기다가 질리도록 만드는 수업 때문에 HSK 4급도 졸업 전까지 만들지 못해서 결국에는 둘 다 못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거기다가 붐이 불면서 전기, 화학, 기계 전공임에도 HSK 등급은 학원에서 고득점으로 만들어 오기 때문이다. 게다가 영어영문학과 학생들 중 부모님이 어릴 때부터 중국어를 시킨 학생들은 둘 다 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정말 포지션이 애매해진다.

반대로 중국어배우기만 하면 이제는 영어나 다른 유럽어를 못하게 된다. 보통 영어가 싫어서 중어중문학과로 몰리는 경우가 많다. 이러다 보니 차일 피일 미루다가 결국 빈손으로 사회로 출발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3개국어하는법으로 첫 시작을 하여 5개국어하는법까지 터득하는 데 언어를 이해해 가며 외국어의 특성으로 일어나는 사회현상들이 보인다.

싫어요!

유럽 언어를 중점적으로 하고 싶어 하시는 분들의 특징이 있다. 바로 중국어배우기를 극도로 싫어하신다는 것이다. 각종 이유가 있는데 첫 번째가 중국인에게 유럽에서 살면서 혹은 한국에서 심하게 데여보신 분들이다. 그래서 어글리 차이니스라고 하는데 공공장소나 아니면 무례하게 행동하는 것 때문에 ‘중국어 싫어요’를 떠나서 중국인 이에게 질리신 분들이다.

두번째로 노어처럼 어려운 불어와 독어를 하시는 분들의 경우 자신만의 프라이드가 있다. 어깨에 뽕을 넣고 다니는 것이다. 나는 어려운 외국어를 한다는 자신감이다. 사실 외국어의 절반은 자신감으로부터 온다. 여기서 재미있는 일이 일어나는데 ‘어렵다, 쉽다’를 판가름하는 것은 배워야 할 분량이 많나 적나에 따라 달려있다. 그런 의미에서 중국어배우기가 얼마나 어렵나를 봤을 때, 위 언어를 하시는 분들은 쉬워 보일 수도 있다.

처음은 왕초보 중국어배우기, 왕초보 프랑스어배우기 이렇게 하나씩 골라서 하는 학습자가 두 명이 있다고 가정하자. 그랬을 때 중국어를 하는 사람은 말을 빨리빨리 만들어 낸다.(말하기가 되는 공부법으로 했다고 가정하면) 왜냐하면 그렇게 초반에 배워야 할 것들이나 규칙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생각보다 빨리 배운다고 한다.

반면 왕초보 프랑스어배우기를 선택해서 3개국어하는법 확장하는 분들은 초반부터 지옥을 경험한다. 그래서 불어 구사 자들은 항상 말이 늦게 트이는 언어라고 한다.(여기도 말하기 방법대로 공부를 했다는 가정하에) 그렇게 처음 해야 하는 부분들도 많아진다.

무엇이든 장, 단이 있기 마련이다. 장점이 있으면 단점이 있다는 말이다. 중국어배우기는 대신에 뒤로 가서 사상이 나오면서부터가 헬을 경험하는데 다행히 아직은 HSK6급 밖에 없기 때문에 (개정을 한다고는 하지만) 그 위에 실력자들을 판가름할 방법이 없다. 이것을 최근 중국정부에서 알고 개정을 통해 그 위에 등급을 만들어 낸다고 한다.

즉 중국어배우기를 하려면 적어도 한국어 포함 3개국어하는법은 알아야 한다. 아무리 중국어 초고수라고 할지라도 영어점수가 없으면 취업이 고달파 진다. 그런데 중국어에만 익숙해져서 영어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전 구 HSK11급을 취득 한 사람일수록 영어를 못한다. 이전까지만 해도 중어만 잘해도 입사는 프리 패스였지만 지금은 아니다. 이것은 앞으로 HSK 6급 위에 등급들이 등장을 하더라도 마찬가지다.

vivasrussia

Recent Posts

영어회화 학습방법 13분 저주와 자아들

계속 학습방법에서 벗어나지 않았는지 체크를 하며 이대로 영어회화에 온 갖 힘을 쏟아 넣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8시간 ago

다개국어 N개국어학습법 집념과 철학이 없다면

대학생이 되어서야 늦게 다개국어에 눈을 뜨고 시작은 작았지만 어느덧 N개국어학습법으로 다언어 구사자가 되었다. 내가 처음…

8시간 ago

기초중국어 배우기 중영러독프성공기

지금까지 많은 외국어 구사자들을 만나면서, 그중에서도 공통점들을 찾을 수 있었다. 우선 영어성적이 없이 기초중국어를 먼저…

8시간 ago

러시아어회화 배우기 유럽어스터디 끼리 망해

한국 사람들에게 있어서 가장 어려워하는 언어를 꼽자면 러시아어회화와 같은 유럽어를 배우기로 하는 것이다. 왜 이렇게…

8시간 ago

제2외국어 추천 자격증 중프영독러 다 따보니

어찌 보면 우리가 삶을 사는 데 있어서 인생을 가장 많이 풍족하게 해주는 것은 외국어를 배우는…

8시간 ago

영어회화 학습방법 13분 실력도 13분짜리

가만히 생각을 해보면 가장 끌리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적게 영어회화를 공부하고 유창한 영어로 블라블라…

8시간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