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국어 공부를 하면서 정말 회화의 중요성을 아주 톡톡히 느끼게 되었고, 이 영향으로 오픽 시험에 그렇게 집착을 하게 되었다. 그래도 우선 태어 났으면 일단 오픽 시험 IH는 받아는 봐야 한다고 생각했다. 누군가는 말한다. 그냥 오픽 스크립트를 암기 하면 쉽다 금방한다.
그런데 나는 애초부터가 오픽 시험 IH를 목표를 한 것은 아니였다. 그런데 나도 받아 보고 싶다는 작은 욕망으로 부터 이 모든것이 시작 되었다. 그것도 프리토킹 방식으로. 그리고 내가 할 줄 아는 모든 외국어들을 말이다. 첫 오픽 시험은 떨리지도 않았다. 무슨 시험인지 알지도 모르고 갔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오면서 오픽이라는 시험이 매우 정교하게 짜여진 말하기 시험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그 어떤 분야라도 이거 해야겠다 싶으면 무섭게 판다. 과학도 답게. 그리고 항상 고수들로 부터 듣는 말이 있다. “어! 그거 어떻게 아셨어요?! 안가르쳐 드렸는데!” 분야 상관 없이 이런 말을 들을 때의 짜릿함!
오픽도 그렇게 했다. IH등급에 올라 서기 위해 ACTFL 오픽 연구원으로 빙의를 했다. 그리고는 문제당 답 분석 단순 암기가 아닌, 어떤 능력을 요하는지, 어떤 능력을 갖춰야 하는지를 분석 했다. 그리고 그것을 바탕으로 그 실력과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어떤 공부를 해야 하는지를 하나씩 갖춰 나갔다.
그리고 그 방식들이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면서 오픽 점수와 등급이 오르면 오를 수록 더 매력을 느꼈다. 그렇다 그냥 스포츠나 게임 같은 느낌이였다. 성격이 변태같아서 어려운것을 좋아한다. 아무도 못하는, 그 누구도 성공 한 적 없는, 어려운,불가능한 문제라는 말을 들으면 눈빛에 불빛이 들어온다.
(내 친구들이 옆에서 하는 말) 그리고는 제발 그만하자고 주위에서 말려도 끝이 날 때 까지 파고있는 나를 발견 하면 그 순간 머리가 아프지만, 해내고, “그거 아무도 못 해낸 건데 어떻게 알아 냈어요? 어떻게 한거에요?” 말을 들으면 세상이 다 내것이 된것 같다.
이것 때문에 오픽 시험을 연구 하면 할 수록 빠져 들었다. 그리고 그 어떤 말하기 능력을 원하는지 알아 내면 나는 속으로 이렇게 말했다.
와! 소름, ACTFL OPIc! 꼭 이렇게 까지 해야겠어?
그리고 오픽 IH 목표로 N개국어 시험을 보며
난이도 클릭을 할 때
보통 사람들은 어려운 질문을 피하고
3-3 이나 4-4와 같은
쉬운 난이도를 선택 할 때
6-6, 5-5를 선택 하며 이렇게 외쳤다
“난이도! 묻고 더블로가!”
이렇게 가장 밑바닥 부터 오픽을 시작 해서 어느덧 N개국어 까지 달성 하는 과정에서 나에게는 오픽 공부법 = 영어, 외국어 회화 공부법이 하나씩, 하나씩 쌓였다. 이세상 어떤 것이든 원리적으로 접근 하면 만능이 되어버린다. 변화가 있어도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는 엔지니어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정통 방식으로 클레식하게 가면, 그 와중에 오픽 독학 IH 꼼수 같은 것은 정말 부수적인 것이고, 사람들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게 된다. 그러다 보니 회원님으로 영어선생님, 제2외국어 선생님, 전공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
그 이유는 그 분들은 그 문제를 풀기 위해 온갖 공부법 및 방법들을 다 해보고 안돼서 오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더 절실한데 방법론 것을 들으면 “이걸로요? 오! 한번 해볼게요” 그리고 진짜 된다고 하시고 오린이 (오픽 입문자= 오픽어린이)분들도 변화를 알려 주시고 등급이 오를 수록 마치 내 등급이 나온것 처럼 기쁘다. 특히 나이가 많으신 분들이나, 아니면, 갈피를 못잡고 오셔서 처음 레벨이 처참 했는데, 발전 하신 분들의 경우 더 기쁘다. 진심으로.
대학생이 되어서야 늦게 다개국어에 눈을 뜨고 시작은 작았지만 어느덧 N개국어학습법으로 다언어 구사자가 되었다. 내가 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