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 나에게 말했다. 정부 기관에서 일을 해야 한다고.
그렇다면 공무원? 나도 한때는 국제 공무원이 되는 게 꿈이기도 했다.
그런데 교과서적 마인드로만,
모든 업무를 교과서적으로만 해야 한다기에,
거기다가 공무원 시험을 볼 엄두가 나지 않았다.
5지선 혹은 4지선 답을 골라야 하는 것.
그렇게 공무원과는 멀어지고, 영어회화를 비롯해서
다국어를 하다 외교부에서 특강 요청을 받았다.
첫 회는 내가 지원을 했지만, 간택 받아 계속 불러 주셨다.
내가 막 사회로 나가려 하던 꼬꼬마 때라서
내가 이런 곳에서 특강을 해도 되나 싶을 정도였다.
장소와 대상이 고려대였으니 할 말 다 했다.
처음에는 좀 떨렸다. 그때 생각했다.
우리 집은 스타강사의 피가 흐른다!
이렇게 생각하지 금방 좋아졌다.
아직도 고려대 특강이 나를 찾아준 특강이라 생각한다.
특강이 끝나고 질문을 받는데 고대 학생 중 한 명이
손을 들고 나에게 어떻게 그렇게 스피치를 잘하냐고
방법을 알려 달라고 했고, 몇 번이건 질문을 받자마자
90도로 머리를 숙여 감사하다고 했다.
지방대 대학생에서 영어회화로 시작하여
외교부 특강에도 불러주는
사람이 되었다는 것이
처음에는 믿기지 않았다.
커리어가 불어 나기 시작했다.
한 줄씩 불어 나기 시작했다.
처음 외교부에서 외국어 공부법으로
특강을 권하셨을 때, 나보다 잘하는 사람들이
정말 많은데?라고 생각을 했었다.
그때 외교부 직원분께서 하신 말씀이 있다.
“내가 학생들 정말 많이 보는데, 수홍 씨 같은 사람 없어!
내가 볼 때 당신이 최고야, 그렇게 영어회화부터
여러 개다 자격증까지 따는 친구는 없어”
그렇다. 특강에서도 질문을 받는데
모든 질문 들을 바로 소화했다.
그러고는 그 자리에서 바로 질문들에 대한
조언을 하나하나 해 주기 시작했다.
그렇다. 늘 아무도 안 알려 줬던 것들이다.
영어회화 공부와 다국어 공부를 하면,
수많은 벽들이 나를 기다리고 있다.
그렇다면 그 벽을 어떻게 부수고 다음 벽으로 넘어갈 것인가?
아니면 이 벽을 부수지 못해서 다음 단계로 계속 못 나가고
고립되어 있거나.
이렇게 고립이 되었을 때 왜? 이런 벽이 나를 막고 있고,
다음 단계로 발전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고,
그것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마지막으로 그 무엇을 하면 어떻게 발전에 기여할지,
이건 아무도 안 가르쳐 준다.
보통 이런 상황이라고 말을 하면 수많은
영어회화 선생님들은 이렇게 말한다. 그냥 외워!
기성전 외워! 기성전 굶어!라고 하면 살이 빠진다.
아니면 어디가 막힌 것인지 감조차 잡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그 자리에서 모든 질문들에 대한 해결 방법들을 알려 주었다.
데이터 베이스가 있기 때문이다.
한 대학교의 전체 유럽인 교환학생 친구들의 공부법을 바꿨으니
할 말 다 했다.
그것도 한두 명한테 알려 줬는데 그게 퍼졌다.
그리고 친구들은 나를 마주칠 때마다 추앙해 줬다.
만약 내가 통암기 방식으로만 영어회화와 5개국어를 했다면
이런 능력은 가지지 못했을 것이다.
대학생이 되어서야 늦게 다개국어에 눈을 뜨고 시작은 작았지만 어느덧 N개국어학습법으로 다언어 구사자가 되었다. 내가 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