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어회화 세 달간 유창했던 이유

어쩌다가 외국어 하나에 꽂히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처음에는 중국어랑 영어 열심히 해서 전공 생물을 연관하여 제약회사 들어가서 해외영업을 하고 싶었는데 이게 러시아어까지 하고 5개국어까지 자격증 모두 섭렵하고 나니 돌이 킬 수 없는 강을 건너 버린 느낌이었다.

러시아어회화를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할지에 대한 고민이 가장 컸다. 왜냐하면 책이나 인강으로 보던 회화는 전혀 상관이 없고 실제로 러시아 사람을 만나면 손발을 묶은 것 같이 답답했기 때문이다. 러시아어회화 세 달간 회화가 유창했던 이유도 내가 유럽 어의 공부법을 알아냈기에 가능했다.

러시아어회화를 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을 터득했기에 가능했다. 그 총량은 어마어마했다. 하루 20분 인강 듣는다고 해결이 되는 게 절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완전 일명 열공 모드에 돌입을 하고 씹어 먹기 시작을 했다. 러시아 친구들도 엄청나게 응원을 해 주었다.

공부를 하다 보면 별의별 생각이 다 들었다. 사실 우리나라 제2외국어 중에 왕초보 시작 반만 가장 많고 초급 반부터 기하급수적으로 인원이 줄어들어 폐강을 반복하는 언어가 러시아어이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쉬운 것만 원하기 때문이다. 그래 쉬운 것만. 난 거기서 힘을 얻었다.

이미 중국어 자격증을 따면서 경험을 했다. 나에게 쉬우면 남들도 쉽고 내가 에너지와 시간을 써서 열심히 해내면 나보다 더 잘하는 사람들이 내 앞에 줄을 서 있게 되면서 허탈감을 준다. 나 이거 왜 했니? 마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졸업장 같은 느낌이다. 다 가지고 있는 것은 필수가 아니라면 그것도 하고 다른 것도 해야 한다는 생각뿐이었다.

하루는 러시아어회화 공부를 하다가 헛구역질도 한 적이 있고, 한국어 사용 자체를 2달 정도 안 했을 때는 한국어가 어눌해 지적도 있다. 그게 되더라. 방법을 알면 대략적인 끝이 어디인지 알 수 있기에 말이다. 거기다 자격증을 고득점 받게 되면 그때부터 외국어의 빌드업이 어떻게 돼야 하는지도 알게 되었다. 특히나 다국어는 말이다.